반응형 마케팅19 ROAS란 무엇인가? #마케팅 지표 2: ROAS(Return on ad spend) 오늘은 효율적인 캠페인 세팅을 위해 꼭 알아야 할 지표 중 하나, ROAS를 알아보자. ROAS는 Return on ad spend을 줄임말로, 광고나 캠페인에서 발생한 수익을 계산한 값이다. ROAS는 광고 캠페인의 효율을 평가할 때 고려해야 할 가장 중요한 마케팅 지표 중 하나이다. 너무나도 당연한 말이지만, 아무리 매출을 많이 벌어다준 광고일지라도 매출보다 광고비가 더 많다면 그 광고는 좋은 광고라고 하기 어렵다. 이를 직관적으로 나타내주는 지표가 바로 ROAS이다. ROAS는 캠페인 초기에도 유용한데, 소재별 혹은 세그먼트별 ROAS를 따져서 성과가 좋은 그룹만 남기고 다른 그룹은 예산 비중을 줄임으로써 광고(캠페인)를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지출하는 광고 비용을 줄여 더 빠르.. 2023. 3. 14. 고객평생가치(LTV)란 무엇인가? #마케팅 지표1: LTV(Life Time Value) 오늘은 비즈니스 성장의 핵심 지표 중 하나, LTV를 알아보자. LTV는 Life Time Value을 줄임말로, 고객이 특정 제품(서비스)을 사용하는 시간 동안 창출하는 평균 수익을 나타내며 사용자가 그 서비스를 사용하면서 얼마나 효용을 느꼈는지 판단하기 위한 지표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LTV는 마케터가 손실을 내지 않고 사용자 획득을 위해 쓸 수 있는 금액(광고, 프로모션, 이벤트 등)을 파악해 캠페인을 최적화하는데 도움을 준다. 특히 LTV는 지속적인 고객 관계 구축이 중요한 SaaS(Software as a Service) 비즈니스와 관련이 높다. 수많은 경쟁자가 존재하는 디지털 앱 시장에서 고객이 제품을 사용하도록 설득하기 위해서는 약간의 비용(광고 등)을 지불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때부터는.. 2023. 3. 11. 잘 되는 콘텐츠의 비밀, '공감' 잘 되는 콘텐츠는 어떤 특이한 포인트가 있을까? 많은 요소들이 있겠지만 오늘은 '공감'에 집중해 보려고 한다. 이제는 너무나도 유명해진 '사물궁이'를 예시로 들어볼까 한다. 사물궁이는 일상 속 사소한 궁금증을 해결해 주는 채널로, 평소 한 번쯤 궁금하다고 생각한 주제를 다루고 있다. 가장 인기가 많은 영상은 약 746만회의 조회수를 보이고 있으며 지금까지도 꾸준히 사랑받고 있다. 이렇게 잘되기까지 여러 실험과 노력이 있었겠지만, 많은 구독자들은 '공감 가는 주제'를 그 요인으로 꼽는다. 그러다가 이런 궁금증이 든다. '공감되는 콘텐츠'가 뭘까?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나는 '개인의 경험, 가치관, 관심사와 결이 비슷하여 쉽게 이해되는, 호소력 있는 콘텐츠'라고 생각한다. 때문에 독자들이 한 번쯤 경험해 봤거.. 2023. 3. 9. 사업에서 꼭 필요한 KPI 찾는 법(feat. 쪼개기) 오늘은 지난번에 썼던 '매출'을 KPI로 두면 안 되는 2가지 이유'에 이어 어떻게 하면 허수 지표가 아닌, 제대로 된 KPI를 설정할 수 있을까에 대한 방법론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한다. 이전 포스팅: https://immybox.tistory.com/18 '매출'을 KPI로 두면 안되는 2가지 이유 오늘은 '매출을 KPI로 두는 것'에 대한 생각을 조금 써보려고 한다. KPI는 Key Performance Indicator의 줄임말로 '핵심 성과 지표'이다. 그렇다면 여기서 말하는 '핵심성과'는 뭘까? 회사는 이익을 목적으 immybox.tistory.com 실질적인 지표를 찾기 위해서는 '쪼개야'한다. 이전 포스팅에서 '매출'을 주요 KPI로 설정하면 안 된다고 했지만, 회사는 이익을 만들어 내기 .. 2023. 3. 8. '매출'을 KPI로 두면 안되는 2가지 이유 오늘은 '매출을 KPI로 두는 것'에 대한 생각을 조금 써보려고 한다. KPI는 Key Performance Indicator의 줄임말로 '핵심 성과 지표'이다. 그렇다면 여기서 말하는 '핵심성과'는 뭘까? 회사는 이익을 목적으로 하는 집단이니 '매출'을 1순위 KPI로 두어야 할까? 나는 그렇지 않다고 생각한다. '매출'은 결과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매출은 광고나 이벤트와 같은 마케팅 요소에도 크게 영향을 받고, 계절성을 타기도 하며, 경쟁사의 할인 프로모션에도 영향을 받을 수 있는, 말 그대로 '결과'이다. '매출'이라는 지표 자체를 KPI로 두면 2가지 단점이 있다. 1. 매출이 감소했을 때 그 이유를 알 수 없다. 매출이 감소한다는 것은 어딘가 잘못되어가고 있다는 중요한 신호일 수 있다. 하지만 .. 2023. 3. 6. 어떤 이벤트를 추적하는 것이 좋을까?(이벤트 추적 기준과 이벤트 종류) ※ 해당 포스팅은 Amplitude의 Behavioral Data & Event Tracking Guide 2022 05를 참고하여 작성되었습니다. 분석 툴을 활용할 때면 항상 드는 고민, 나뿐만 아니라 이벤트를 활용하는 사람이라면 한번쯤 해봤을 법한 질문이다. '모든 행동에 이벤트를 붙여 트래킹하면 비용도 많이 들고 데이터가 복잡해져서 분석하기가 힘들다던데. 그럼 어떤 행동에 이벤트를 달아야하지?' 이게 우리만의 고민은 아니었는지, Amplitue에서도 이 질문을 burning question이라고 정의하고 많이 묻는 질문으로 손꼽는다. 일단 분석툴에서 이벤트를 추적한다는 것은 뭘까? 행동을 수집하고 시각화한다는 뜻이다. 여기서부터 나올 수 있는 질문, 1. 데이터 시각화를 먼저 하고 인사이트를 뽑을까.. 2023. 3. 4. 마케터가 Chat GPT 쓰는 방법(Chat GPT 질문 꿀팁까지!) 요즘 핫하디 핫한 Chat GPT, 마케팅에 써볼 수 없을까 생각이 들어 사용 사례 몇 개를 가져왔다. 중요한 건 각자 상황에 맞게 질문을 잘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렇게 써라' 보다는 어떻게 질문할지 '아이디어를 얻는 목적'으로 보는 것을 추천한다. Chat GPT 바로가기 → https://chat.openai.com/ 들어가기에 앞서, Chat GPT 질문 꿀팁! 1. 영어로 질문하자. 한국어로 질문해도 답변을 잘 해주긴한데 체감상 영어보다 더 느린 것 같다. 그리고 답변 퀄리티도 다소 떨어지는 느낌을 받았다. 영어로 질문하는 건 파파고나 구글 번역기에 돌려서 질문하면 되니 그리 어렵지 않다. 2. 기왕이면 내 배경상황을 자세히 설명하자. amplitude 글을 쓰면서 안 풀리는 것들은 Chat GP.. 2023. 3. 1. Amplitude에서 정의하는 이벤트 데이터의 구성 요소 ※ 해당 포스팅은 Amplitude의 Behavioral Data & Event Tracking Guide 2022 05를 참고하여 작성되었습니다. ※ 용어 통일을 위해 'entity property', '사용자 속성'을 'user property'라고, 이벤트 속성은 'event property'라고 지칭하겠습니다. 매트리스를 사려고 하는 사람이 있다고 가정해 보자. 그 사람은 A라는 쇼핑몰에서 베이직 제품이 좋을지, 프리미엄 제품이 좋을지 고민할 수도 있고, 리뷰나 상세페이지를 볼 수도 있다. 한편으로는 아예 다른 쇼핑몰, B 쇼핑몰의 제품이 좋아 이탈할 수도 있다. 우리가 만약 A쇼핑몰의 사장님이라면 무엇을 할 수 있을까? 나라면 가장 먼저 고객들이 우리 사이트에서 어떻게 행동하는지 그 흐름을 파악.. 2023. 2. 28. Amplitude 고객 데이터의 종류, User Data와 Interaction Data ※ 해당 포스팅은 Amplitude의 Behavioral Data & Event Tracking Guide 2022 05를 참고하여 작성되었습니다. 서비스를 운영하다 보면 고객 데이터를 수집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맞춤형 상품을 보여주거나, 상품을 3개 이상 찾아본 고객에게 쿠폰 주고, 어디서 유입되었는지 전환율이 좋은 채널을 파악해서 해당 채널에 더 집중하는 등 여러 분야에서 효율을 높이고 최적화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이 고객 데이터는 크게 두 가지 종류로 나눌 수 있다. · User Data: 고객과 그들의 정보(특징)이 담긴 데이터로, Entity Data라고도 부른다. · Interaction Data: 유저가 제품과 상호작용하는 방식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있는 데이터로, Event.. 2023. 2. 20. 이전 1 2 3 다음 반응형